[출처] (ESG) 최근 ESG경영의 핵심 트렌드|작성자 dolce vita
ESG에 대한 논의는 최근까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많은 보고서와 칼럼이 ESG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대한 다양한 담론을 내놓고 있다. 각국 정부도 직접 나서서 ESG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기업들도 ESG 경영을 위해 조직을 변경하고 다양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또한 많은 기관들도 ESG 교육과정과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이 같은 ESG의 대대적인 확산에는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기업은 사회를 떠나 독자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ESG를 통해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적절히 변화시키며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반면, 수많은 평가기관과 복잡한 평가과정 때문에 혼란스럽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비용이 부담스럽다는 반응이 다수다. 일부에서는 ESG가 한때 유행하는 돈벌이 수단이라는 비판도 있다.
현실은 어떠한가. 이전에는 친환경과 사회공헌활동을 집약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필수가 아닌 권고 수준이었다, 하지만 ESG는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투자 기준인 택소노미와 탄소저감을 위한 탄소국경조정제도, 인권향상을 위한 공급망 실사 등이 잇달아 도입되고 있다. ESG가 사회적 책임에서 투자 유치의 필수사항으로 확고히 자리 잡으며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고 있다.
그렇다면 최근 ESG의 핵심 이슈와 동향은 무엇인가. 먼저 공급망 실사 대응이다. 2021년 2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실사(CSDDD)’ 지침을 마련했다. 공급망 실사(due diligence)로 불리는 이 법안은 공급망에 있는 협력사에도 인권 및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는 지속가능경영을 주문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1월부터 시행 중인 독일의 공급망 실사법(LkSG)은 대기업에 납품하는 협력사의 인권·환경에 대한 △리스크 관리 △리스크 분석 △규정 위반 점검 의무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대기업만이 아니라 협력기업에게도 인권과 환경경영을 강제하는 것이며 어길 경우 벌칙조항까지 담고 있다. 지금은 내년에 제출할 첫 보고서에 담길 내용에 대한 평가기간이라 아직은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지 않지만 내년에는 쟁점으로 부각될 것이다.
스코프3 확산도 중요한 이슈다. 기업은 온실가스 보고기준(GHG Protocol)에서 정의된 범위(Scope)에 따라 탄소 배출량을 분류하고 보고해야 한다. 1단계(Scope1)는 기업 자체 생산 활동과정에서 일어나는 직접 배출이다. 2단계(Scope2)는 기업이 소비하는 전기와 냉난방 등 간접 배출을 포함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코프 3은 공급망과 제품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배출량이다. 즉, 부품이나 소재의 생산하는 협력사뿐만 아니라 유통과 소비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가 이에 해당한다.
스코프 3을 요구하는 흐름은 스코프 1, 2만으로는 넷 제로의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그러나 스코프 3은 범위가 대단히 넓고 복잡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과 관리가 쉽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ESG공시의 국제 표준안을 만들고 있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방침은 확고하다. 다만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25부터 실시되는 스코프3 배출량 공시의무를 1년간 유예해 주기로 했다.
ESG가 확산되면서 공급망 실사와 스코프 3의 도입은 기업에게 분명히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하지만 세계 경제의 온실가스 감축은 글로벌 이슈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이에 대응하는 ESG 경영은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을 통해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우리 대기업도 협력사의 공급망 관리와 스코프 3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내재화해서 대응해야 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2023.4.18, 스픽스 SPEAKS(http://www.speak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