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칼럼) 지속가능경영은 어디로 가고 있나|작성자 dolce vita
‘우리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나온 것은 1987년이었다. 당시 신자유주의가 팽배하면서 세계화가 한창이었지만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에서는 ‘브룬트란트 보고서’로도 불리는 리포트를 통해 미래세대의 기반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전을 강조했고 이는 ‘지속 가능’이라는 개념의 시초가 되었다.
지속 가능은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되 미래세대의 가능성을 파괴하지 않기 위해, 인간사회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자유롭게 발전하는 것을 뜻한다. 당시 세계 경제는 열대림 파괴, 사막화, 온실효과에 의한 기온 상승, 오존층 파괴 등으로 환경오염이 전 지구적 규모로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환경·자원 기반을 보전하는 지속 가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당연했다.
인류의 무분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한 문제의식은 산업혁명 이후부터 있었지만 효율을 중시하는 경제철학에 밀려 뒷전이었다. 1950년대부터 대형 환경 사고들이 일어나자 산업 활동이 인간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커지기 시작했다. 마침내 1968년 로마클럽(Club of Rome)은 인류 활동과 지구시스템의 한계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로마클럽은 인구·산업화·오염·식량·자원이라는 5가지 변수를 1970년대까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종전 성장방식의 추세가 변하지 않는다면 환경오염과 자원고갈로 인하여 100년 안에 성장의 한계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1972년 이러한 환경과 성장에 대한 보고서인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를 발표했다.
최근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은 크게 변모하고 있다. 국가나 사회의 발전보다는 개별기업과 생태계의 성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코로나 팬더믹과 기후변화, ESG경영의 대두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코로나 사태는 공급망의 훼손으로 이어져 부품과 소재 공급에 있어서 국제적인 지각 변동을 초래했다. 선진 제조업 국가들의 새로운 공급망의 규제에 대한 대응은 발등의 불이 되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도 글로벌 이슈이다. 2021년 8월 유엔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6차 보고서는 인간 활동이 전대미문의 속도로 기후를 바꾸고 있다며 범지구적 대응을 촉구했다.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인간의 탐욕적 경제활동은 지구 온난화에 악영향을 주어 10년 안에 대재앙이 늘어날 것이라 경고하였다.
ESG 경영도 중요한 요소로 등장했다. ESG는 2005년 유엔에서 채택한 책임투자원칙(PRI)에 뿌리를 두고 있다. PRI는 ESG와 관련된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수익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최근에는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전환되면서 유럽연합은 지속가능성장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소셜 택소노미를 만들었다. ‘공급망 실사법’이 확산되면서 노동자들의 안전과 인권도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PRI는 2021년 1월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iversity, Equity & Inclusion)’이라는 보고서를 발행했다. 이에 따르면 투자가들에게 세 가지 요소 사이의 균형있는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DEI보고서는 지속가능성장을 위해서는 경제 양극화의 해소와 안전·인권 강화가 핵심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2023.5.16, 스픽스 SPEAKS(http://www.speaks.kr)